[잡갤] “저요? 그냥 노는데요” 취업해도 ‘금방 퇴사’, 왜?…jpg

DC Inside 이미지 1
DC Inside 이미지 2
DC Inside 이미지 3
DC Inside 이미지 4
DC Inside 이미지 5
DC Inside 이미지 6
DC Inside 이미지 7
DC Inside 이미지 8
DC Inside 이미지 9
DC Inside 이미지 10
DC Inside 이미지 11
DC Inside 이미지 12
DC Inside 이미지 13
DC Inside 이미지 14
DC Inside 이미지 15
DC Inside 이미지 16
DC Inside 이미지 17
DC Inside 이미지 18

금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25일)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어서 오세요. 한 기자, 지금 취업하지도 않고 취업할 의사도 없는 청년이 절반을 넘었다고요. 이게 어떤 의미인가요?
먼저 취업자 수부터 살펴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청년 취업자가 368만 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 명 줄어들었습니다.
경제 활동 참가율도 49.5%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인구 대비 경제활동인구, 그러니까 취업자와 실업자를 더한 비율을 뜻하는데, 청년층 절반이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라는 얘기입니다.
이 수치가 50% 밑으로 내려간 건 2021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입니다.
일단 졸업한 사람이 많이 줄었습니다.
청년층 중 최종 학교 졸업자는 417만 5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 2천 명이나 줄었습니다.
또 우리나라 청년층 인구도, 그러니까 15세부터 29세까지가 797만 4천 명으로 800만이 안 되는데요.
5월 기준으로 청년층 인구가 8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건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처음입니다.
이렇게 청년 인구도 줄고, 졸업한 사람이 주니까 당연히 취업자 수에도 영향을 줄 테고요.
제조업, 건설업 부진의 영향을 받아서 청년 취업자 수는 최근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일단 청년들이 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건지를 좀 더 알아봐야 해결될 문제 같기는 한데, 지금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도 꽤 늘었다고요?
이렇게 졸업을 했는데 1년 이상 취업을 못 한 청년이 56만 명이 늘었고요.
3년 이상 미취업 청년도 23만 명에 달했습니다.
학교 졸업 이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은 121만 2천 명에 달하는데요.
여기에 처음에 언급했듯이 졸업 후 일자리가 없는 기간, 그러니까 백수인 기간은 작년보다 더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년 이상 미취업 청년은 56만 5천 명으로 비중이 46.6%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상승했고요.
3년 이상인 '장기 백수'도 23만 명으로 1년 전보다 18.5%에서 18.9%로 0.4%포인트 더 커졌습니다.
그런데 이 시간 동안 뭘 하느냐 물었더니 많은 경우인 40.5%가 직업교육이나 취업 시험 준비를 한다고 답했지만, 그냥 노는 백수 청년 비율도 늘었습니다.
4명 중 1명꼴로 실제 '그냥 시간을 보낸다'고 답했는데, 지난해보다 0,4%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대학도 취업 때문에 바로 졸업을 못 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학 졸업자의 평균 졸업에 걸리는 기간은 4년 4.4개월로 1년 전보다 0.6개월 더 길어졌습니다.
이렇게 취업을 해도 금방 직장을 나오는 경우가 많다면서요. 취업한 청년들이라고 고민이 없는 건 아니겠죠?
첫 직장에서 일한 기간은 평균 18개월 정도 됐는데요.
첫 직장에서 일한 기간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줄었습니다
퇴사 이후로는 근로 여건 불만족이 가장 많았습니다
물론 부정적인 내용만 있는 건 아니었고요.
첫 일자리가 임금 근로자인 경우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11.3개월로 1년 전보다는 0.2개월 줄어들기는 했고요.
그래도 졸업 후 취업까지 걸린 시간이 평균 1년에 육박하죠.
첫 일자리는 숙박 음식점업이 가장 많았고, 광업·제조업과 도소매업 순이었습니다.
또 첫 일자리 임금도 작년과 비교하면 올랐는데요.
월 200만 원에서 300만 원이 39.7%로 가장 많았고, 150만 원에서 200만 원과 100만 원에 150만 원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작년과 비교하면 200만 원에서 300만 원이 4.5%포인트, 또 300만 원 이상이 1.7%포인트, 각각 오르는 등 고임금 구간 비중에서 상승했습니다.
이렇게 임금 수준은 다소 개선하는 듯했지만 근로 여건에 만족하지 못해서 일자리를 구해도 금세 그만뒀습니다.
청년층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4개월에 불과했는데, 전년 동월보다 0.8개월 줄어든 겁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두는 이유는 보수나 노동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46.4%로 가장 많았는데, 지난해와 비교하면 0.9%포인트 더 커졌습니다.
청년 노동자의 일자리 미스 매치가 심화 됐다는 뜻으로 읽힙니다.

출처: 잡담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