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갤] 기업들이 인기곡 저작권과 마스터권 살려는 이유

DC Inside 이미지 1
DC Inside 이미지 2
DC Inside 이미지 3
DC Inside 이미지 4
DC Inside 이미지 5
DC Inside 이미지 6
DC Inside 이미지 7
DC Inside 이미지 8
DC Inside 이미지 9
DC Inside 이미지 10
DC Inside 이미지 11
DC Inside 이미지 12
DC Inside 이미지 13
DC Inside 이미지 14
DC Inside 이미지 15
DC Inside 이미지 16

요즘 기업들이 나이먹은 유명 뮤지션들 상대로 이제 말년인데 편하게 돈 받고 파세요~ 하면서 무려 수천억~조단위를 일시불로 지불하면서 곡들의 저작권이나 마스터권 사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음

요즘 기업들이 나이먹은 유명 뮤지션들 상대로 이제 말년인데 편하게 돈 받고 파세요~ 하면서

무려 수천억~조단위를 일시불로 지불하면서 곡들의 저작권이나 마스터권 사가는 일이 늘어나고 있음

저스틴 비버, 케이티 페리 같은 애들은 수천억대 퀸 곡들은 무려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3000억원 조단위까지 제시 받은 상황

저스틴 비버, 케이티 페리 같은 애들은 수천억대

퀸 곡들은 무려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3000억원

조단위까지 제시 받은 상황

관심 없는 사람들 시선에서는 기업 ㅅㄲ들 미쳤나 돈이 넘쳐나나 무슨 저런 큰 금액을 한번에 주고 저렇게 사갈려고 미쳐있나 싶겠지만 사실 다 투자 가치가 있으니 수천억~조단위 주면서 사갈라고 하는거임 일단 요즘 대중음악에서 유행하는게 샘플링임

관심 없는 사람들 시선에서는

기업 ㅅㄲ들 미쳤나 돈이 넘쳐나나 무슨 저런 큰 금액을 한번에 주고 저렇게 사갈려고 미쳐있나 싶겠지만

사실 다 투자 가치가 있으니 수천억~조단위 주면서 사갈라고 하는거임

일단 요즘 대중음악에서 유행하는게 샘플링임

최근 샘플링으로 유명한 곡으로는 도이치의 anxiety

빌보드 1위 했었던 이 예전 곡을 들고와서 샘플링으로 만들어낸거임 근데 당연히 원곡이 따로 있는걸 샘플링으로 만들어서 신곡을 뽑았으면 아주 당연하게도 원곡자 한테도 곡 수익을 나눠줘야 함 당연히 작곡 참여단에 원곡자 이름이 자동으로 들어가고 원곡자는 저작권료 달달하게 받아 먹음 반대로 말하면 기업이 인기곡들의 판권 저작권을 다 가지고 있으면 이런 샘플링 작곡에 자유롭게 가져다 쓸수 있음 말그대로 허락받고 쓰는 샘플링이니 표절논란에서도 자유로움 샘플링 사용 방법이 무궁무진 한거임

빌보드 1위 했었던 이 예전 곡을 들고와서 샘플링으로 만들어낸거임

근데 당연히 원곡이 따로 있는걸 샘플링으로 만들어서

신곡을 뽑았으면 아주 당연하게도 원곡자 한테도

곡 수익을 나눠줘야 함 당연히 작곡 참여단에 원곡자 이름이 자동으로 들어가고 원곡자는 저작권료 달달하게 받아 먹음

반대로 말하면 기업이 인기곡들의 판권 저작권을 다 가지고 있으면 이런 샘플링 작곡에 자유롭게 가져다 쓸수 있음 말그대로 허락받고 쓰는 샘플링이니 표절논란에서도 자유로움

샘플링 사용 방법이 무궁무진 한거임

거기다 정말 세계적인 스타의 곡들은 아얘 영화를 따로 만들어서 쓸수도 있고 뮤지컬에도 쓸수있고 마음먹으면 기업이 활용 할수있는 곳이 다양함 특히 음원 수익은 저작권보다 마스터권이 중요한데

거기다 정말 세계적인 스타의 곡들은 아얘 영화를 따로 만들어서 쓸수도 있고

뮤지컬에도 쓸수있고 마음먹으면 기업이 활용 할수있는 곳이 다양함

특히 음원 수익은 저작권보다 마스터권이 중요한데

이건 어디까지나 국내 비율이라 해외랑 조금 다르지만 보통 해외 스트리밍 사이트가 30% 정도 먹고 나머지 70%를 로열티라고 해서 곡 주인들에게 줌 저기서 음반제작사라고 적힌게 마스터권 가진 쪽이라고 보면 됨 로열티중 대부분을 마스터권 가진 애들이 먹는거임 그 다음이 작곡한 저작권자 그 다음이 보컬 같은 실연자 사실상 음원 수익은 마스터권 가진 쪽이 짱인거 그래서 최근 뉴스 보면 위에 상황이라 정반대인 상황도 생겼는데

이건 어디까지나 국내 비율이라 해외랑 조금 다르지만

보통 해외 스트리밍 사이트가 30% 정도 먹고 나머지

70%를 로열티라고 해서 곡 주인들에게 줌

저기서 음반제작사라고 적힌게 마스터권 가진 쪽이라고 보면 됨

로열티중 대부분을 마스터권 가진 애들이 먹는거임

그 다음이 작곡한 저작권자 그 다음이 보컬 같은 실연자

사실상 음원 수익은 마스터권 가진 쪽이 짱인거

그래서 최근 뉴스 보면 위에 상황이라 정반대인 상황도 생겼는데

이미 저작권은 다 가지고 있던 테일러 스위프트가 기업 상대로 자기 옛날 곡들 마스터권까지 가질려고 딜 하다가 결국 3억 6천만 달러 한화로 약 5000억원 주고 자기 옛날 곡 마스터권 전부 사온 상황도 생김 기업들이 뮤지션들 상대로 사가는 입장에서 반대로 일개 뮤지션 한명이 기업 상대로 마스터권 사가는 상황이 생긴거 잘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선 이미 저작권도 있는 사람이 굳이 5000억원이나 줘가면서 사갈일인가 싶을거임

이미 저작권은 다 가지고 있던 테일러 스위프트가 기업 상대로 자기 옛날 곡들 마스터권까지 가질려고

결국 3억 6천만 달러 한화로 약 5000억원 주고

자기 옛날 곡 마스터권 전부 사온 상황도 생김

기업들이 뮤지션들 상대로 사가는 입장에서

반대로 일개 뮤지션 한명이 기업 상대로 마스터권 사가는 상황이 생긴거

잘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선 이미 저작권도 있는 사람이

굳이 5000억원이나 줘가면서 사갈일인가 싶을거임

이게 테일러가 자신의 곡에 애정이 있어서 라고도 볼수있지만 결국 돈 계산 해보면 사갈만한 가치가 있으니 사간거

테일러 스위프트는 2023년도 한해에 스포티파이에서 받는 로열티만 1억 달러 약 1300억원이 넘는 수준이였고 여기에 애플 뮤직이나 유튜브 같은 다른 스트리밍 사이트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음 근데 위에서 설명한거처럼 결국 로열티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마스터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최고임 근데 이제 저작권과 마스터권을 전부 다 가지게 된 테일러 스위프트는 저 로열티들을 안나누고 거의 혼자 다 먹을수 있는거임 저런 로열티들을 계속 받는다고 생각하면 지금 당장은 5000억원이 손해일지도 몰라도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이득인거지 로열티는 평생 들어오니까

테일러 스위프트는 2023년도 한해에 스포티파이에서 받는 로열티만 1억 달러 약 1300억원이 넘는 수준이였고

여기에 애플 뮤직이나 유튜브 같은 다른 스트리밍 사이트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음

근데 위에서 설명한거처럼 결국 로열티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마스터권 가지고 있는 사람이 최고임

근데 이제 저작권과 마스터권을 전부 다 가지게 된

테일러 스위프트는 저 로열티들을 안나누고 거의 혼자 다 먹을수 있는거임

저런 로열티들을 계속 받는다고 생각하면

지금 당장은 5000억원이 손해일지도 몰라도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이득인거지 로열티는 평생 들어오니까

물론 이건 테일러 스위프트가 막 조단위로 돈을 버는 규격 외의 재력을 가진 뮤지션이라 가능한 상황이고 일반적인 인기스타 뮤지션들은 저런 상황을 만들기가 힘듬 수천억원을 한번에 지불할 재력도 극소수고 일반적으로는 기업이 안팜 테일러 곡도 원래는 기업이 팔 생각 없었는데 테일러가 계속 팔라고 압박 넣고 설득해서 가능했던 상황이라

물론 이건 테일러 스위프트가 막 조단위로 돈을 버는 규격 외의 재력을 가진 뮤지션이라 가능한 상황이고

일반적인 인기스타 뮤지션들은 저런 상황을 만들기가 힘듬

수천억원을 한번에 지불할 재력도 극소수고

일반적으로는 기업이 안팜

테일러 곡도 원래는 기업이 팔 생각 없었는데

테일러가 계속 팔라고 압박 넣고 설득해서 가능했던 상황이라

출처: 메이플스토리 갤러리 [원본 보기]

댓글 남기기